1. Shift Register
2진 정보를 왼쪽 혹은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레지스터
시프트 레지스터는 각 FF의 출력일 다음 FF의 입력이 되도록 종속적으로 연결된 일련의 FF들로 구성됨.
FF에 공통의 CLock을 입력시키면 1비트씩 자리 이동
CLK에 연결된 FF의 수 = 시프트 레지스터 길이
8 Shift Register : 8개의 D FF으로 이루어진 8비트 (왼쪽 이동)
D FF의 출력값이 7비트부터 0비트까지 값이 전달됨
Ex> 00000000 일 경우 다음D값이 1이면 00000001 으로 가고
다음D값이 1이면 00000011 이되고 다음D값이 0일시 00000110이 됨. 전
< 구조적 모델링을 위하여 설계 및 사용할 D-FF>
4~9 : entity shift8 의 포트 설정
D,RST,CLK는 입력로직 선언
Q는 (7부터0까지 8비트 내림차순의) 출력로직 선언
13 : signal형의 tmp 선언 ( 7부터 0까지 내림차순의 8비트)
15 : component D_FF : 설계된 D_FF을 사용한다는 처리문 포트설정(포트맵사용시 선언된 순서대로 넣어줘야함)
23~30 : 각 단계 DFF(1,2,3,4,5,6,7,8)을 표기하기 위함
D_FF port map(입력,리셋,클락,tmp(0비트~7비트)를 포트맵에 넣어주어서
23 : D,Rst,CLK을 설계된 D_FF의 입력신호로 전달하여 tmp에 설계된 D_FF의 출력 Q의 값을 entity shfit8의 tmp(0비트)로 전달해줌
24 : tmp(0비트),Rst,CLK을 설계된 D_FF의 입력값으로 전달하여 tmp에 설계된 D_FF의 출력Q의 값을 tmp(1비트)로 전달해줌
30 : 이와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D_FF에 tmp(6비트),Rst,CLK의 신호를 전달해주고 나온 Q값을 tmp(7비트)로 전달해줌
32 : 최종 적인 출력 Q값은 tmp(7비트부터 0비트 내림차순)의 값을 전달받음
'VHD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 bit updown counter (0) | 2021.06.09 |
---|---|
순차회로 Counter(카운터) 설계( 4비트비동기식업카운터schematic, 4비트비동기식다운카운터VHDL) (0) | 2021.06.09 |
FND DECODER ( DE2보드) (0) | 2021.06.08 |
8x3 Encoder , 8x3 엔코더 VHDL (0) | 2021.06.08 |
3x8 Decoder 설계 (0) | 2021.06.08 |